Transition & Animation
기존에는 웹페이지 내에서 동적인 효과를 주려면 Flash나 Javascript의 도움이 있어야먄 했다.
하지만, transition과 animation 속성이 새로 정의되면서 더 간단하고 빠르게 모션 효과를 구현 할 수 있게 되었다.
먼저 transition은 css 속성을 변경할 때 과정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성이다.
단순히 과정을 조정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조정할 수 있는 선택지도 적고, 종료 후에는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.
반면 animation은 @keyframes와 같은 속성을 활용해 요소의 다양한 상태를 지정할 수 있고, 종료된 후에도 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.
Transition
css 속성을 변경할 때 해당 요소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역할의 속성이다.
전환(transition) 속성은 적용 즉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
속성의 변화가 일정 기간에 걸쳐 일어나도록 조정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자의 행위가 필요하다.
transition 속성의 적용대상 및 기본 값 | ||
적용 대상 | 모든 요소, 가상선택자 | |
상속 여부 | X | |
기본값 | transition-delay | 0초 |
transition-duration | 0초 | |
transition-property | 모두 | |
transition-timing-function | ease | |
transition-behavior | normal | |
transition 속성 | ||
transition-delay | 전환효과가 발생하기 전까지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속성. | |
transition-duration | 전환효과가 지속될 시간을 설정하는 속성. | |
transition-property | 전환효과의 대상이 되는 css 프로퍼티명을 지정하는 속성. | |
transition-timing-function | 전환효과의 시간당 속도를 설정하는 속성. | |
transition-behavior |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CSS/transform
transform - CSS: Cascading Style Sheets | MDN
CSS transform 속성으로 요소에 회전, 크기 조절, 기울이기, 이동 효과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. transform은 CSS 시각적 서식 모델의 좌표 공간을 변경합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CSS/transform-function
<transform-function> - CSS: Cascading Style Sheets | MDN
CSS <transform-function> 자료형은 요소의 외형에 영향을 주는 변형을 나타냅니다. 변형 함수는 2D 또는 3D 공간 내에서 요소를 회전하고, 크기를 바꾸고, 왜곡하고, 이동할 수 있습니다. transform 속성에
developer.mozilla.org
transition-behavior - CSS: Cascading Style Sheets | MDN
The transition-behavior CSS property specifies whether transitions will be started for properties whose animation behavior is discrete.
developer.mozilla.org
https://velog.io/@gotaek/animation%EA%B3%BC-transition
animation과 transition
웹페이지 제작에서 화면을 부드럽게 제어하는 방법에는 css의 animation, transition, JS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. 이 글에서는 animation, transition 사용법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
velog.io
트랜지션의 특징
마우스를 올리기전엔 박스가 이런 모양이다.
simsimjae.medium.com
🎨 transition / transform / animation 속성 사용법
CSS 트랜지션 트랜지션(transition)은 CSS 프로퍼티의 값이 변화할 때, 프로퍼티 값의 변화가 일정 시간(duration)에 걸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. 상태 변화에 동반하여 변경되는 CSS 프로퍼티 값에 의
inpa.tistory.com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CSS/CSS_transitions/Using_CSS_transitions
CSS 트랜지션 사용하기 - CSS: Cascading Style Sheets | MDN
CSS 트랜지션은 CSS 속성을 변경할 때 애니메이션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 속성 변경이 즉시 영향을 미치게 하는 대신, 그 속성의 변화가 일정 기간에 걸쳐 일어나도록 할 수 있습니
developer.mozilla.org
https://d-sup.github.io/html%20css/animation/#transition-%EC%86%8D%EC%84%B1%EA%B0%92%EB%93%A4
'html, 스타일시트(css, scs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 개발자도구에서 미디어쿼리가 안되는 이유 (3) | 2024.12.17 |
---|---|
[html / css ] 사용자 드래그(drag) 막는 방법 (0) | 2024.08.01 |
[html/css] transform 변형 속성으로 육면체 만들기 (0) | 2024.07.04 |
[html/css] Vertical-align 속성으로 가로 정렬하기(수정중) (0) | 2024.06.28 |
[html/css]가상 요소를 활용해 삼각형/말풍선 만들기 (0) | 2024.06.28 |